“마을사업 우리 손으로”…‘울산형 마을’ 주목

입력 2021.03.01 (23:55) 수정 2021.03.02 (06: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마을 주민들이 정부 정책의 대상이 아니라 입안자가 되도록 하자는 이른바, '마을공동체 사업'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울산에서 처음으로 '울산형 마을'이 만들어졌는데요.

이전과는 다른 마을 자치를 선보일 수 있을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이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울산 울주군 상북면의 마을입니다.

평일 오후, 주민 10여 명이 모였습니다.

요즘 이들의 고민은 어떻게 하면 마을을 떠나는 청년들을 붙잡느냐는 것.

농업 종사자가 많은 지역적 특성을 살려 귀촌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름하여 '청춘 포레스트'. 농촌형 청년 일자리 사업인 셈입니다.

[김수빈/울주군 상북면 : "어른들이 많은 시골이라는 인식이 강한데 저희 청년들이 활동하면서 젊은 친구들이 귀농·귀촌할 수 있는, 젊은 시골, 이왕 시골이지만 젊은 시골을 만드는 게 저희 목표입니다."]

울주군 상북면을 포함한 울산지역 4개 마을이 첫 '울산형 마을'로 지정됐습니다.

선정된 마을 4곳에는 3년 간, 최대 5억 원이 지원됩니다.

생활안전과 방역에서부터 돌봄과 의료 등 생활 전반의 정책을 주민들이 직접 만듭니다.

일자리 발굴과 발전 방향 설정 등 공동체를 이끌 마을연구소와 마을시설공단도 신설됩니다.

지난해 시작한 '마을계획단'에 이어 올해 '울산형 마을'까지 마을공동체 사업은 확산되고 있지만, 울산시의 마을 사업을 총괄하는 전담 기구는 아직 없습니다.

울산경제진흥원 내에 속한 '지원센터'가 유일한 창구로, 사업의 전문성을 살리기엔 역부족입니다.

또, 지속가능한 마을 사업을 위해 논의되고 있는 이른바 '마을세' 도입도 지지부진합니다.

[박가령/울산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지원센터장 : "하나의 센터가 만들어져야죠. 시 단위에서 큰 결을 같이 하는 큰 물결이 만들어지고 그 안에 집적화해서 상승효과가 나게 만들고, 하나로 조직화되어서 체계적으로 연구도 하고…."]

마을공동체 사업이 양적 성장에 그치지 않고 질적 도약을 하기 위해서는 예산과 조직이라는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마을사업 우리 손으로”…‘울산형 마을’ 주목
    • 입력 2021-03-01 23:55:47
    • 수정2021-03-02 06:00:48
    뉴스9(울산)
[앵커]

마을 주민들이 정부 정책의 대상이 아니라 입안자가 되도록 하자는 이른바, '마을공동체 사업'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울산에서 처음으로 '울산형 마을'이 만들어졌는데요.

이전과는 다른 마을 자치를 선보일 수 있을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이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울산 울주군 상북면의 마을입니다.

평일 오후, 주민 10여 명이 모였습니다.

요즘 이들의 고민은 어떻게 하면 마을을 떠나는 청년들을 붙잡느냐는 것.

농업 종사자가 많은 지역적 특성을 살려 귀촌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름하여 '청춘 포레스트'. 농촌형 청년 일자리 사업인 셈입니다.

[김수빈/울주군 상북면 : "어른들이 많은 시골이라는 인식이 강한데 저희 청년들이 활동하면서 젊은 친구들이 귀농·귀촌할 수 있는, 젊은 시골, 이왕 시골이지만 젊은 시골을 만드는 게 저희 목표입니다."]

울주군 상북면을 포함한 울산지역 4개 마을이 첫 '울산형 마을'로 지정됐습니다.

선정된 마을 4곳에는 3년 간, 최대 5억 원이 지원됩니다.

생활안전과 방역에서부터 돌봄과 의료 등 생활 전반의 정책을 주민들이 직접 만듭니다.

일자리 발굴과 발전 방향 설정 등 공동체를 이끌 마을연구소와 마을시설공단도 신설됩니다.

지난해 시작한 '마을계획단'에 이어 올해 '울산형 마을'까지 마을공동체 사업은 확산되고 있지만, 울산시의 마을 사업을 총괄하는 전담 기구는 아직 없습니다.

울산경제진흥원 내에 속한 '지원센터'가 유일한 창구로, 사업의 전문성을 살리기엔 역부족입니다.

또, 지속가능한 마을 사업을 위해 논의되고 있는 이른바 '마을세' 도입도 지지부진합니다.

[박가령/울산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지원센터장 : "하나의 센터가 만들어져야죠. 시 단위에서 큰 결을 같이 하는 큰 물결이 만들어지고 그 안에 집적화해서 상승효과가 나게 만들고, 하나로 조직화되어서 체계적으로 연구도 하고…."]

마을공동체 사업이 양적 성장에 그치지 않고 질적 도약을 하기 위해서는 예산과 조직이라는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울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